본문 바로가기

사회문화

하이힐은 원래 남자가 신었다? 오늘날 여성 신발의 상징과 같이 느껴지는 하이힐이 원래 남성용 구두였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하이힐은 16~18세기 유럽에서 처음 신기 시작한 구두입니다. 당시 유럽에는 화장실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는데요. 그래서 사람들은 오물을 그냥 길거리에 마구 버렸습니다. 이런 오물을 밟지 않고 다니기 위해 개발된 것이 하이힐인데요. 특히 말을 타는 남자들이 말에 오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처음 신기 시작했습니다. 승마용 부츠에 항상 힐을 달았던 것이죠. 그러던 것이 루이 14세에 들어서 패션의 개념이 추가되어 크게 유행합니다. 루이 14세는 키가 작은 것이 컴플렉스였는데요. 커 보이게 뒷굽이 높은 힐을 신었고 왕이 신자 귀족들 사이에서 급속도로 유행하게 됩니다. 당시 힐이 크게 유행하는 것을 보고 여성들도..
세상에서 가장 빠른 기차 베스트 3 세상에서 가장 빠른 기차는 무엇일까요? 우리나라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해무는 상용화 기차는 아니지만 시속 430km를 기록했는데요. 430km도 믿어지지 않는 빠른 속도이지만 더 빠른 기차를 소개합니다. 랭킹 3위 - 중국 상해자기부상열차 시속 501km 상해자부교통발전에서 제조 생산한 상해자기부상열차가 시속 501km로 3위니다. 실제 운행상의 최고 속도는 431km 이지만 테스트 중 최고 속도는 501km이었습니다. 독일의 트랜스래피드08의 기술력을 받아 제작했습니다. 랭킹 2위 - 프랑스 TGV POS 시속 573km 우리나라 KTX 관련된 친숙한 TGV이죠. 프랑스의 고속철도로 TGV 시리즈 중 최초로 VVVF IGBT 제어방식을 적용한 4세대 기차입니다. 운행상 최고 속도는 시속 320km인데요...
야인시대 시라소니 이성순 드라마와 실제 2002년 방영하여 나온지 15년도 넘은 작품이지만 스테디셀러로 여전히 인기가 있는 드라마이죠. 김두한의 일대기를 그린 작품인데요. 하지만 드라마 야인시대는 실제와 다른 내용이 많습니다. 하야시가 처음에는 일본인으로 나왔다가 한국인으로 바뀌었는데요. 하야시는 한국인 선우영빈으로 우리나라 초대 건설협회 회장입니다. 또한 주위에는 일본인이 아니라 조선인을 옆에 두었습니다. 하지만 가장 눈에 띈 점은 바로 시라소니 이성순에 관한 것인데요. 야인시대에서는 평양박치기를 마치 시라소니인 것처럼 등장시키는데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습니다. 1. 평양출신이 아니다. 당시 주먹의 3대 도시는 평양, 이천, 신의주였는데요. 시라소니는 신의주 출신입니다. 20살까지 그 인근지역에서 활동했습니다. 물론 이때 이화룡, 아오키와 ..
아홉수에 결혼해도 되는 이유 우리나라에는 19, 29, 39살과 같이 끝이 9인 나이에 결혼을 하면 불행이 따른다는 믿음이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아홉수인데요. 주변에는 이런 아홉수를 때문에 결혼을 미루는 경우도 있습니다. 결혼을 포함하여 가정의 대소사는 물론 심지어 이사도 꺼려하죠. 이런 아홉수는 어디서 유래했으며 실제 어떤 뜻을 의미하고 있을까요? 예로부터 동양철학에서는 숫자 10이라는 개념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10 이라는 숫자를 다른 별도의 숫자가 아니라 1+0=1 이렇게 되어 다시 1로 환원이 된다는 것입니다. 즉 0, 1, 2, 3, 4, 5, 6, 7, 8, 9 이 계속해서 반복되는 개념입니다. 이렇다보니 9는 숫자는 매우 불길해졌습니다. 하늘의 기운에 제일 마지막 숫자이다 보니 '끝이 난다, 없어지다'와 같은..
남자 옷과 여자 옷의 단추 위치가 다른 놀라운 이유 보통 남자 옷은 오른쪽에 단추가 있고 여자 옷은 왼쪽에 있습니다. 오른손잡이에게는 단추가 오른쪽이 있는 것이 채우기 편리할 텐데요. 왜 여자 옷은 불편하게 반대로 되어 있을까요? 여기에는 몇가지 유래가 있습니다. 1. 남자는 스스로 옷을 입지만 여자는 하녀들이 도와줬다. 과거 유럽에서 드레스나 블라우스 같은 옷을 입을 수 있는 여성은 대게 중산층 이상이었고 한명 이상의 하녀들을 거느린 것이 일상화 되었습니다. 남자들은 자신이 옷을 입었지만 귀부인들은 하녀들이 도와주었고 하녀들 입장에서 편리하게 단추의 위치가 만들어졌다는 것입니다. 2. 드레스가 처음 디자인 되었을 당시 단추가 뒤에 달렸다. 오늘날 같은 블라우스 이전 유럽의 중세시대에 드레스나 블라우스는 단추가 뒷쪽에 달려 있었습니다. 뒷편에 달린 단추를..
이유 있는 오줌쌀때 '쉬~' 조용히하라고 할때 '쉬~' 흔히 아기들 배뇨시킬 때 '쉬~~'라는 소리를 내곤 합니다. 또한 조용히하라는 의사표시로 '쉬~~'라고 하는데요. 여기에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오줌쌀때 쉬~~라고 하는 것은 청각적인 소리로 배뇨를 촉진하는 생리현상입니다. 유사한 원리는 경주마들의 도핑검사에서도 활용되는데요. 말들에게 휘파람을 불어주면 귀가 간지러워져 오줌을 싼다고 합니다. 엄마들이 애기들 옆에서 쉬~라고 해주는 것도 같은 원리입니다. 한변 조용히하라고 할때 쉬~는 다른데요. 인간이 성대를 울리지 않고 낼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이기 때문입니다. 조용히하라고 얘기하면서 정작 자신은 큰 소리를 낼 수가 없죠. 한편 또 다른 이유도 있습니다. 인류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중에 쉬, 쉿~이 있는데요. 포유류와 파충류가 오랜 기간..
알고보면 놀라운 짬뽕의 유래 짬뽕 좋아하시나요? 개인적으로는 해장으로 많이 먹는데요. 자장면의 실체는 많이 밝혀졌으니 짬뽕에 대해 얘기해보려 합니다. 짬뽕은 자장면과 더불어 중화요리를 대표하는 음식이죠. 정의는 이렇습니다. 炒馬麵 초마면 : 각종 야체와 해물을 기름에 볶은 후 고추기름과 육수에 면을 넣은 음식. 사실 자장면처럼 중국 본토에는 존재하지 않는 음식입니다. 처음 만든 것은 일본 나가사키의 화교들인데요. 일본도 한때 우리나라처럼 서양에 대해 쇄국정책을 펼쳤던 시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나가사키 지역만은 유일하게 서양과 교류했던 지역인데요. 그러다 보니 여러나라의 음식이 소개 되었고 각 나라에서 즐겨 먹는 재료를 마구 섞어 만든 '짬뽕(ちやんぽん)'이라는 음식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일본어로 짬뽕 ちゃんぽ은 요리의 이름이기도 ..
나도 모르게 사진 찍을 때 브이(V) 포즈로 찍는 이유 사진을 찍을 때 손가락으로 브이 V 포즈를 취하는 경우가 많죠. 가끔은 나도 모르게 자연스럽게 나오는데요. 어떻게 하다 브이라는 포즈가 이렇게 일반화 되었을까요? 이것은 세계 2차 대전에서 유래합니다. 영국의 수상 윈스턴 처칠은 어디에 가던 손가락으로 V 마크를 그렸습니다. 독일의 일방적인 공격을 받고도 연합군의 중심에서 대항했던 처칠은 국민들에게 '우리가 승리한다'라는 믿음을 심어줄 필요가 있었죠. 그래서 승리 'Victoty'의 이니셜 V 마크를 보여줬던 것입니다. 그는 심지어 독일의 폭격을 당한 지역을 시찰하면서도 '브이' 사인으로 국민들의 사기를 진작시켰습니다. 또한 이런 사진이 전 세계 신문에 항상 헤드라인을 장식하며 각나라에 전파됩니다. 이런 처칠의 모습은 전세계 사람들에게 인상깊은 모습으로 ..